드랙을 일상으로! 드랙을 해시태그로!

드랙이란 “남성성 혹은 여성성을 과장하여 꾸미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이들은 과장하여 꾸밈으로 인해 젠더를 패러디하게 되고, 젠더규범이라는 것이 얼마나 우스꽝스럽고 의미 없는 것인지 시각적으로 강렬하게 강조한다. 이들 중 일부는 의상을 벗음으로서 옷과 몸의 젠더 규범의 불일치를 드러내기도 한다.

#dailydrag은 드랙 아티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는 이시마가 2019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사진 프로젝트로서 무대 위에서 일어나는 드랙 행위를 일상으로 끌어 내린다. 퀴어들의 문화로서 향유되고 있는 드랙을 비퀴어 시스젠더, 이성애자 등 정상규범을 수행하는 이들에게 입힌다. 비퀴어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대해 작가와 의논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사진, 영상, 퍼포먼스의 형태로 기록한다. 평소 입지 않는 다른 젠더의 옷을 입고 카메라 앞에 선 비퀴어들은 옷에 의해, 환경에 의해, 자기 자신에 의해 무언가를 경험하게 된다. 그들은 옷을 입는 행위, 그것을 타인에게 보이는 행위, 그리고 그것이 기록 되어 전시되는 행위를 통해 참여자 자신은 매 순간 자신의 섹슈얼리티와 젠더를 의심하고 고민하게 된다.

한국이라는 가부장적이고 이성애규범적인 나라에서, 이들은 자신의 정상성을 의심할 기회조차 없이 시스젠더 이성애자로서 당연히 살아간다. 그들은 이러한 경계를 넘나드는 트랜스trans적 행위를 통해 일상으로 안착한 퀴어라는 의문은, 이들 안에서 균열을 일으키고, 기록되어 보여짐으로 인해 또 다시 부시고 넘어트린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특정 남성이 정말로 길거리 위에서 치마를 입는 날이 올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한 것은 이 사람의 남성적 일상에 여성 젠더가 파편화되어서라도 흩뿌려져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어떤 이는 늦은 밤 하얀색에 잘 다려진 통이 큰 흰색 남성용 정장을 입고 다리를 쩍 벌리고 술을 마시되, 긴 머리와 화장을 유지하며 자신이 할 수 있는 만큼만의 남성이 되었다. 그에게 남성이란 ‘밤 늦게 눈에 띄는 옷을 입고, 화장을 하고도 술을 마음껏 마실 수 있는 사람’인 것이다. 이를 통해 처음으로 느껴보는 해방감이자 동시에 고작 천쪼가리 몇장으로 전유를 시도할 수 있는 영역임을 깨닫게 된다.

#해시태그라는 방식을 이 프로젝트가 만들어내는 휘발적이고 느슨한 연대를 전면에 드러낸다. 순식간에 생성되고 사라지는 이미지와 글들을 잇는 해시태그는 마치 하룻밤 급히 생성되었다 온라인에서, 참가자들의 일상에서 사라진- 아니 사라진 듯 해 보이는 젠더에 대한 의문과 같다. 그러나 그 균열은 남고, 연결된 지점들은 지도가 된다.

2019 - #dailydrag



#daily drag

프로젝트 전체 프리뷰는 메일로 문의 바랍니다.

드랙을 일상으로! 드랙을 해시태그로!

드랙이란 “남성성 혹은 여성성을 과장하여 꾸미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이들은 과장하여 꾸밈으로 인해 젠더를 패러디하게 되고, 젠더규범이라는 것이 얼마나 우스꽝스럽고 의미 없는 것인지 시각적으로 강렬하게 강조한다. 이들 중 일부는 의상을 벗음으로서 옷과 몸의 젠더 규범의 불일치를 드러내기도 한다.

#dailydrag은 드랙 아티스트로도 활동하고 있는 이시마가 2019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사진 프로젝트로서 무대 위에서 일어나는 드랙 행위를 일상으로 끌어 내린다. 퀴어들의 문화로서 향유되고 있는 드랙을 비퀴어 시스젠더, 이성애자 등 정상규범을 수행하는 이들에게 입힌다. 비퀴어들은 자신이 생각하는 젠더와 섹슈얼리티에 대해 작가와 의논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사진, 영상, 퍼포먼스의 형태로 기록한다. 평소 입지 않는 다른 젠더의 옷을 입고 카메라 앞에 선 비퀴어들은 옷에 의해, 환경에 의해, 자기 자신에 의해 무언가를 경험하게 된다. 그들은 옷을 입는 행위, 그것을 타인에게 보이는 행위, 그리고 그것이 기록 되어 전시되는 행위를 통해 참여자 자신은 매 순간 자신의 섹슈얼리티와 젠더를 의심하고 고민하게 된다.

한국이라는 가부장적이고 이성애규범적인 나라에서, 이들은 자신의 정상성을 의심할 기회조차 없이 시스젠더 이성애자로서 당연히 살아간다. 그들은 이러한 경계를 넘나드는 트랜스trans적 행위를 통해 일상으로 안착한 퀴어라는 의문은, 이들 안에서 균열을 일으키고, 기록되어 보여짐으로 인해 또 다시 부시고 넘어트린다. 프로젝트에 참여한 특정 남성이 정말로 길거리 위에서 치마를 입는 날이 올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한 것은 이 사람의 남성적 일상에 여성 젠더가 파편화되어서라도 흩뿌려져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어떤 이는 늦은 밤 하얀색에 잘 다려진 통이 큰 흰색 남성용 정장을 입고 다리를 쩍 벌리고 술을 마시되, 긴 머리와 화장을 유지하며 자신이 할 수 있는 만큼만의 남성이 되었다. 그에게 남성이란 ‘밤 늦게 눈에 띄는 옷을 입고, 화장을 하고도 술을 마음껏 마실 수 있는 사람’인 것이다. 이를 통해 처음으로 느껴보는 해방감이자 동시에 고작 천쪼가리 몇장으로 전유를 시도할 수 있는 영역임을 깨닫게 된다.

#해시태그라는 방식을 이 프로젝트가 만들어내는 휘발적이고 느슨한 연대를 전면에 드러낸다. 순식간에 생성되고 사라지는 이미지와 글들을 잇는 해시태그는 마치 하룻밤 급히 생성되었다 온라인에서, 참가자들의 일상에서 사라진- 아니 사라진 듯 해 보이는 젠더에 대한 의문과 같다. 그러나 그 균열은 남고, 연결된 지점들은 지도가 된다.


For full preview of project, please inquire via email.

Drag, broadly understood as the exaggeration of masculinity or femininity through stylized performance, functions as a potent parody of gender itself. By magnifying the codes of gendered presentation, drag exposes the absurdity and arbitrariness of gender norms. Some performers even disrobe, revealing the dissonance between clothing and the body—between the visible signifiers of gender and the flesh beneath them.

#dailydrag is a photographic project that artist leesima, also active as a drag performer, has been developing since 2019. It seeks to bring the aesthetics and critical edge of drag—typically confined to queer subcultures and stage performances—into the mundane everyday. The project dresses cisgender, heterosexual individuals, who routinely embody the hegemonic gender norm, in drag. Each participant consults with the artist to articulate their understanding of gender and sexuality, which is then visually translated into images, video, and performance.

Donning garments aligned with genders they do not habitually perform, these non-queer participants confront themselves in unfamiliar attire, within unfamiliar contexts, and through unfamiliar gazes. The act of dressing, appearing before the camera, and having their image recorded and exhibited destabilizes their assumptions of gender and sexuality. Each moment of performance becomes an encounter with their own constructed normalcy.

In South Korea—a patriarchal and heteronormative society—these individuals rarely have the opportunity to question their assigned normality. Through this transgressive and trans-ing gesture, the project creates a queer rupture that infiltrates the otherwise sealed contours of cis-heterosexual life. Whether or not a man who participated in the project will ever wear a skirt in public, the gendered shards of femininity have already dispersed into his masculine everyday.

One participant, for instance, wore a crisp white oversized men’s suit, legs spread wide while drinking late into the night—yet retained long hair and makeup, performing only a partial masculinity. For him, being a man came to mean someone who can wear striking clothes late at night, wear makeup, and drink freely. The project became a moment of liberation, and at the same time, a revelation: that even the illusion of gender ownership can be attempted with mere scraps of fabric.

The project’s use of hashtags underscores the ephemeral and porous solidarities it fosters. Like hashtags—fleeting threads of connection that arise and vanish online—the questions raised about gender might seem to disappear from participants’ daily lives. But these ruptures linger. Each point of connection marks a new location on an emergent map of embodied uncertainty.